지난 9월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정부24 접속 불가를 비롯해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행정 서비스가 대거 멈췄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장애가 아니라, 중앙부처와 공무원 행정업무망까지 타격을 입히면서 “정부 IT 심장부의 위기”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정부에서는 서비스 정상화까지 약 2주가 소용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피해 현황: 무엇이 멈췄나
이번 화재로 5층 전산실 내 96개 핵심 시스템이 전소되었습니다. 여기에는 공무원들이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온나라시스템, 국민 민원 창구인 국민신문고, 그리고 국가법령정보센터와 우체국서비스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행정안전부 등 중앙부처 홈페이지 관리 시스템도 이 구역에 있어 정상화까지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또한 정부24, 공무원 인증 시스템(GPKI), 지자체 행정망(새올) 등은 직접 불에 타지는 않았지만, 다른 층의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이 중단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국민이 매일 이용하는 70여 개 핵심 서비스가 한꺼번에 마비되었고, 현장 민원 창구 업무도 크게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복구 일정: 최소 2주 전망
정부는 전소된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의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는 시간이 필요해, 정부 내부에서는 재가동까지 약 2주가 소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2~4층 전산실에 남아 있는 551개 시스템은 통신·보안 장비 복구 후 순차적으로 가동될 예정이지만, 9월 29일(월요일) 이후에도 민원 서비스가 정상화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현재까지 복구된 서비스는 모바일 신분증 일부와 우체국 금융 기능입니다. 모바일 신분증은 광주센터의 재해복구(DR) 체계로 전환해 신규 발급·재발급을 제외한 대부분 기능은 정상화되었고, 우체국도 우선 금융서비스까지는 복구했습니다.
대통령 지시와 정부 대응
이재명 대통령은 9월 28일 비상대책회의를 주재하며 다음과 같이 지시했습니다.
- 시스템 복구와 국민 불편 최소화에 모든 역량 집중
- 화재로 인한 장애와 복구 현황을 숨김없이 공개해 국민 불안을 줄일 것
- 세금·보험 등 행정 의무 이행 차질 시 불이익 방지
- 민간 협력체계 강화로 금융·택배·교통 분야 피해 최소화
- 운영체계 이중화 및 근본적 보완책 마련
대통령은 특히 “2023년 전산망 장애 이후에도 이중화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구조적 문제 해결과 거버넌스 정비를 신속히 추진하라고 주문했습니다.
국민 불편과 대체 경로
현재 정부24 접속이 불가능해 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발급이 중단되었습니다. 대신 일부 서류는 개별 기관 사이트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 세금 관련: 국세청 홈택스
- 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공단
- 지방세: 위택스
- 자동차: 자동차365
- 부동산: 국토부 일사편리
다만 주민등록 등·초본 같은 기본 서류는 주민센터 직접 방문이 필요합니다.
앞으로의 과제
이번 사태는 국가 전산망이 하나의 시설에 지나치게 집중된 구조적 문제를 드러냈습니다. 앞으로는
- 데이터센터 분산 운영
- 실시간 백업 체계 강화
- 노후 장비 정기 교체
- 국민 체감형 위기 대응 매뉴얼 마련
이 필수 과제가 될 것입니다.
이 블로그의 추천 읽기
주제: 정부24 접속 불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 일정과 실제 피해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