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진료비, 특히 비급여 항목의 금액은 같은 진료라도 병원마다 가격이 제각각이어서 과연 이 가격이 적정한 건지 선택의 여지가 많이 없었습니다. 그저 초진부터 봐주신 선생님만 믿고 따라갈 뿐...
그런데 이제는! ‘비급여 정보 포털’ 하나면 병원 가기 전 미리 가격을 비교하고, 치료의 안전성·효과성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인 의료비 지출 결심은?
의료비 지출을 고민하기전에 여러분은 어떤걸 참고하시나요?
지식인? 주변지인탐문? 병원직접방문? 블로그 후기?
아니면 내가 믿는 그 분! 믿고 따라가시나요?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블로그 후기는 광고성 글이 너무나도 많고, 지식인에도 정확하게 내 케이스에 맞는 정보는 없는 것 같고...
일반적으로 정말 최후로 선택해야할 경우 3~4군데 병원을 방문해 직접 선생님께 진료를 받아보고 아래와 같은 말을 들으면 "도수치료"가 무엇인지 검색해보고 나한테 맞을까 고민해보며 15만원이라는 비용이 적정한지, 진짜 열번정도 받으면 되는건지에 대해서 폭풍 검색을 시작하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너에겐 도수치료가 필요해, 비용은 1회에 15만원인데 열번정도 받아봐.
비급여 진료란?
비급여 항목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진료를 의미합니다. 흔히 횟집에서 볼 수 있는 '싯가'가 적용되는 항목이죠.
예를 들면, 특수 건강검진, 미용 목적 시술(쌍커풀 등), 일부 도수치료, 로봇수술, 백내장 렌즈삽입술, 체외충격파 치료 등 국민건강보험 혜택이 없는 항목이죠.
이 항목들은 병원마다 가격이 자율적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같은 진료도 병원마다 2배, 3배 차이 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비급여 정보 포털, 어떤 점이 다를까?
건강보험공단이 4월 10일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간 이 ‘비급여 정보 포털’은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합리적인 의료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이 포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비급여 항목별 가격 정보
- 질환별 진료비 총액 (급여+비급여 포함)
- 비급여 치료의 안전성·효과성 결과
- 비급여 항목 관련 통계 및 건강 콘텐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병원에 가기 전,
예를 들어 체외충격파치료를 받으려고 한다면, 포털에서 해당 항목의 평균 가격, 병원별 가격 차이, 치료 효과성 평가까지 미리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현재 총 1,064개 비급여 항목, 91개 질환, 의료기술 재평가 결과 54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요, 건강보험공단은 공개항목을 계속해서 확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의료비, 알고 쓰는 시대!
건강은 소중하지만, 과잉진료나 불필요한 비급여 진료로 부담되는 건 피하고 싶죠. 믿고 가는 의사선생님도 좋지만 그래도 기왕 쓰는 돈 가성비있게 쓰인다면 더욱 좋겠죠.
특히나 60세~79세 사이의 여성분들이 비급여 의료비 규모가 가장 크다고 하니 이런 정보들도 알고 의료비를 지출한다면 알지도 못한채로 병원에 방문했다가 비싼 치료비로 속상할일도 많이 사라지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비급여 정보 포털’을 통해 미리 파악하고, 비용도, 치료도 납득할 수 있는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 이 블로그의 추천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