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네티즌이 "고무장갑을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렸다가 10만 원 벌금을 냈다”는 사연을 SNS에 올리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쏠렸습니다.
한편에선 “고무장갑이 무슨 무단투기냐”고 하고, 또 다른 한편에서는 “그 동네에선 그게 맞던데?”라는 댓글도 있었는데요.
실제로 확인해보니, 고무장갑 분리배출 기준은 자치구마다 다릅니다.
서울시 내에서도 강남구는 고무장갑을 태워서는 안되는 쓰레기용 봉투에 배출하라고 안내하고 있는 반면, 송파구는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버리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같은 서울인데도 지자체별 기준이 다르니 시민 입장에서는 당연히 헷갈릴 수밖에 없겠죠.
서울시 기준, 이건 꼭 기억하세요!
서울시가 밝힌 대표적인 생활 쓰레기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딱딱하지 않은 과일 껍질 → 음식물 쓰레기
- 치킨 뼈, 생선 뼈, 대파 뿌리, 양파 껍질 → 일반 쓰레기
- 고무장갑 → 자치구 규정에 따라 다름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버려야 하는 음식물과 관련한 쓰레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럼 이번 사건과 관련한 송파구와 강남구를 비교해볼까요?
우선 송파구부터 살펴보면 송파구는 종량제 봉투에 버리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반면 강남구는 태워서는 안되는 쓰레기용 봉투에 배출하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 쓰레기’가 실제로는 음식물/일반/타지않는쓰레기 등으로 더 세분화된다는 점을 알고 분리배출을 해야 과태료 청구서를 안받을 수 있습니다.
헷갈릴 땐 ‘내 손안의 분리배출’ 앱을 활용하세요
이처럼 자치구마다 쓰레기 분리배출 기준이 상이하기 때문에, 잘못 버리면 고무장갑 하나에도 10만 원 벌금이 나올 수 있습니다.
환경부에서 배포한 스마트폰 앱"내 손안의 분리배출"을 통해 정확하진 않지만 대략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요. 확인해본 결과 이 어플에서도 정확하게 안내하고있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일상에서 자주 헷갈리는 품목이 있다면 거주지의 행정복지센터 또는 시, 구청을 통해 한 번 쯤 확인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 어플에서도 고무장갑은 종량제봉투에 넣어서 배출하라고 알려주고 있네요.
각 시군구별 폐기물 분리배출 정보 알아보는 방법
네이버 검색창에서 거주지 시,군,구청을 검색하면 상단에 '분야별 정보'란이 있습니다.
이 상단탭에서 찾아보시면 '청소'카테고리를 찾을 수 있고 들어가보면 분리배출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상세히 알려주고 있으니 꼭 참고해보세요.
그리고 나는 이런 모든 것이 귀찮다 싶을때는 서울시 다산콜센터 120번으로 전화하셔서 직접 물어보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이 블로그의 추천 읽기